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알쏭달쏭우리말]회자와 구설

포스트신문 기자 입력 2021.12.17 14:12 수정 2021.12.17 14:13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것을 이르는 말로 ‘회자’란 단어가 있다. 비슷한 형태로 ‘구설’도 있다. 그러나 ‘회자’는 좋은 일로, ‘구설’은 좋지 않은 일로 사람들의 입 잔치에 오를 때 쓰인다는 차이가 있다.
‘회자’는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널리 칭찬을 받으며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이다. ‘그 효자의 이야기는 요즘에 보기 드문 미담으로 사람들의 입을 통해 회자되고 있다’처럼 쓴다. 그러니 좋지 않은 일에는 회자를 쓸 수 없다.
나쁜 일로 입길에 오르내리는 것은 ‘구설’이다. ‘구설’은 ‘시비하거나 헐뜯는 말’을 뜻한다. ‘구설’을 써야 할 때 ‘구설수’를 쓰는 경우가 있는데 ‘구설수’는 ‘남과 시비하거나 남에게서 헐뜯는 말을 듣게 될 운수’다.
즉 구설은 ‘구설에 휘말리다’나 ‘구설에 오르다’로, 구설수는 ‘구설수가 들다’나 ‘구설수가 있다’로 쓰면 된다.



저작권자 포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