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품면 오천리, 복곡리 산불 피해 주민 간담회 |
영덕군은 이번 산불로 주택 1,616세대가 전파 또는 반파되었고, 이재민도 1,112세대 1,934명이 발생하였다.
이에 영덕군은 이재민의 주거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부군수를 단장으로 하는 임시주택 전담팀을 구성해 준비 과정부터 실행 과정까지 신속히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총 800여 동을 설치하는 임시주택은 이재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실 수요자인 이재민들이 안심하고 머물 수 있는 주거 공간이 되도록 준비하고 있다.
임시주택 면적은 표준모델보다 2평가량 넓은 10평 정도이며, 침실, 거실 겸 주방, 욕실, 현관으로 구성돼 있고, 이재민 불편을 덜기 위해 임시주택에 이재민들의 일상생활에 긴요한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TV 등 대형가전을 비롯해 밥솥과 전자렌지 등 소형가전제품도 구비한다.
![]() |
↑↑ 화수, 매정리 임시주택 설치 |
또한, 현장에서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전국에서 처음으로 영구 주거용 주택도 보급한다.
고령의 어르신들이 원래 살던 집터에서 편히 거주할 수 있도록 개인 부지에 임시주택을 설치하고, 임대 기간이 끝나면 감정평가 후 매각하여 영구적으로 본인 소유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이 모든 과정에 본인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200여 가구가 영구 주거용으로 신청하였다.
시공업체 선정에도 한시가 급한 재난 상황임을 감안해 신속성과 전문성 등을 고려하여 업체들을 탐문했다. 제작 전문 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시공능력을 확인하고, 전문 건축사와 기술사의 심의를 거처, 단가와 납기를 맞출 수 있는 업체에 한하여 최종 물량을 배정하였다.
입찰에 소요되는 기간도 줄이고자 긴급조달지침에 의한 수의 계약으로 진행하였고, 시공 현장 상황도 수시로 모니터링 하고 있다.
출발은 다소 늦더라도 일단 시작하고 나면 일사천리로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영덕군 관계자는 5월 8일 영덕읍 화수리, 매정리 임시주택 18동 설치를 시작으로 5월 내 90% 이상 설치를 완료하고 입지 여건상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 대해서도 6월 중순까지 전부 완료시킬 목표라고 밝혔다.
![]() |
↑↑ 축산면 산사태 우려지역 급경사진 순회점검 |
피해지역에 대한 긴급 현장 점검을 실시한데 이어 응급 벌채와 임시 방재시설 설치 등 복구 작업을 실시하고, 산불로 큰 피해를 본 군민의 정신적인 건강을 지원하기 위해 ‘산불재난 마음안정’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피해 마을 주민들을 직접 찾아가 피해 복구와 지원 계획을 안내하는 ‘찾아가는 설명회’도 열어 피해주민들의 어려움도 경청하고 있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이재민 중에 고령자가 많아 2차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온전한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임시주택 설치와 추가 피해 예방에 모든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포스트신문 특별취재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