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지혜로운 선인들의 교훈-고사성어]항룡유회(亢龍有悔)

포스트신문 기자 입력 2025.07.09 16:33 수정 2025.07.09 16:35


 하늘 끝까지 오른 용은 후회가 있다는 뜻으로 존귀한 지위에 올라가서 겸손·은퇴를 모르면 후회하게 된다는 말이다.

 주역의 64괘 중 1번째에 있는 유교 기호(괘명)인 건괘에는 왕성한 기운이 넘치는 기상을 단계별로 용에 비유한다. 

 

 그 첫 단계는 잠룡(潛龍)으로, 연못 깊숙이 잠복해 있는 용은 아직 때가 아니므로 덕을 쌓으며 때를 기다려야 한다. 

 

 다음은 현룡(現龍)으로, 땅 위로 올라와 자신을 드러내어 군주의 신임을 받게 되니, 곧 정당한 지위에서 중용의 도와 선을 행하며 덕을 펴서 백성을 감화시키는 것이다.

 그다음은 비룡(飛龍)으로, 하늘을 힘차게 나는 용은 본 괘의 극치로서 제왕의 지위에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하여 절정의 경지에 이른 용이 바로 항룡(亢龍)이다. 항룡은 하늘 끝까지 승천한 용이니 그 기상이야 한없이 뻗쳐 좋지만 결국 하늘에 닿으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공자(孔子)는 “항룡은 너무 높이 올라갔기 때문에 존귀하나 지위가 너무 높아 교만하기 때문에 자칫 민심을 잃게 될 수도 있으며, 남을 무시하므로 보필도 받을 수 없다”고 했다.

 과유불급(過猶不及)과 같은 뜻이다.



저작권자 포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